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어그로 뜻 기원

어그로 예상하신 데로 외국어 단어 aggravation, agger 에서 변형됨 어그로는 도발 약 올리기와 같은 뜻이다. 상대를 도발해 적의를 갖게 해 관심을 끌어 공격해오게 한다는 뜻이다 게임에서 어그로 나한테 끌렸어 = 적이 나를 공격한다 와 같다 적 어그로 좀 끌어봐 = 적이 널 보고 공격하게 만들어 놀랍게도 사전에 있다 인터넷에서도 관심을 받기 위해 자극적인 글이나 리플로 주목받길 원하는 사람들에게 어그로꾼,어그로구걸꾼이라 하기도 한다 분탕질 = 어그로 상황에 따라 뜻이 달라 질수 있으니 뜻을 잘 숙지하고 사용해야 한다 상대가 기분 나쁠수 있다 주의 어그로 시전 중...

손절 뜻 기원

손절은 주식 갤러리에서 많이 쓰이던 단어 손절매라 해서 손해를 감수하고 주식을 처분한다는 뜻이다 싹이 보일 때 빠르게 잘라낼 때 쓰이던 것에서 매를 빼고 손절이라 쓰이는 듯하다 (손절이란 주식이나 암호화폐 시장에서 손해를 보며 매도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손절의 반대인 주식용어 익절도 있다. 이익을 보고 판매할 때 익절이란 말을 쓴다 무언가를 끊거나 잘라 낼 때 응용해 사용된다 이 물건은 손절했어 너랑은 손절이야 인간관계나 어떤 물건 게임 캐릭터 등 셀 수 없게 응용할 수 있다 사전에 대를 이을 자손이 끊어짐으로 손절이 있는데 손절매에서 매를 뺀 손절이 더 맞는듯합니다.

아웃풋,인풋 뜻 기원

아웃풋, 인풋 은 컴퓨터나 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아웃풋(output) = 출력 인풋(input) = 입력 놀랍게도 뒤에 풋이 영어 발 foot이 아니다! 이걸 일상에서 접목해 인풋 = 입시 결과 난이도, 합격선, 수준 아웃풋은 취업률, 합격률 졸업 후 취직 등 결과로 많이 사용된다 아웃풋 인풋 본 뜻처럼 출력과 입력 상황에 따라 조금씩 뜻이 변하지만 무언가의 하고 난후 결과물을 아웃풋이라 사용 업적과도 비슷하다. 이 대학 인풋이 높다 = 입시 합격선이 높다 무언가를 시작할 때 인풋이라 사용됩니다 뜻만 알면 어디든 접목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bo1,bo2,bo2 뜻 기원

bo3 bo5 bo7같은거 스포츠나 여러 게임 대회 같은 곳에서 많이 쓰입니다 bo는 영어 뒤에는 숫자.. 역시 영어 줄인말입니다 bo1 = best of 1 bo3 = best of 3 bo5 = best of 5 bo7 = best of 7 게임 판수를 뜻한다고 하네요 한국에서는 bo1 = 단판 승제 bo3 = 3판 2 선승제 bo5 = 5판 3 선승제 bo7 = 7판 4 선승제 와 같은 뜻입니다 알고보니 참 쉽죠 3연벙 당시 bo5인걸 알수 있습니다

AFK 뜻 기원

AFK란 북미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away(떨어지다, 떠나다) from(부터) keyboard(키보드) 잠시 키보드에서 떨어지다 우리나라에서 잠수타다 자리 비움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AFK Arena 라는 게임 앞에 AFK도 같은 뜻이다 방치형 게임을 말하는 듯하다 잠시 자리 비움으로 BRB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BRB는 be right back 곧 곧바로 돌아올게 의 줄임말 채팅 문자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한국이나 북미나 글자 줄이는 건 만국 공통인가 봅니다

-찐- 뜻 기원

인터넷 커뮤니티나 유튜브등 폭넓게 자주 사용돼는 -찐- 찐빵이나 찐하다 할 때 사용되지 찐이 아니다 찐은 크게 세가지로 나뉘었는데 진짜! 진짜배기를 찐이라 사용하기도 하며 은어인 찐따의 줄인 말로도 사용된다 (심한 욕이다) 슬프게도 후자인 -찐- 을 인터넷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눈치가 조금만 있어도 찐이 진짜할때 찐인지 찐따의 찐인지 바로 알아 차릴 수 있다 N찐은 일진들이 주로 쓴다. 일진의 싸움 서열을 정한 후 2찐 3찐 4찐 등 서열을 정리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야인시대?)

TCK (제3문화 아이들) 뜻 기원

TCK는 Third(3) Culture(문화) Kids(아이들) 의 줄인 말이다 한국어로는 제3문화 아이들이라 불린다 보통은 부모를 따라 그 나라에 맞는 정서와 문화에 적응하고 스며들어가며 자라지만 TCK는 쉽게 성장기에 부모의 나라가 아닌 타국에서 서로 다른 문화를 접하며 자란 아이가 TCK다 크게 보면 교포, 조기 유학생. 직업상 타국을 옮겨 다녀야 하는 가정 등 이 이에 해당한다. 꼭 외국을 가지 않더라도 서로 다른 국적의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도 TCK에 해당한다 (이 외에도 특수한 경우가 아주 많다.) 내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 모호한 문화적 정체성과 여러 문화가 뒤섞여 혼란이 오기도 하지만 TCK들은 최소 두 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는 장점과 다국의 문화를 모두 경험해 봐서 포용력이..

인지부조화 뜻

인지부조화 신조어가 아니라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심리학에서, 인지부조화란 두 가지 이상의 반대되는 믿음, 생각, 가치를 동시에 지닐 때 또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것과 반대되는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개인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나 불편한 경험등을 말한다. 요즘 은근히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지부조화 뜻이 어려워 보지만 쉬운 뜻을 담고 있습니다. 자신의 태도와 행동이 모순되면서 마음이 불편한 상태를 피하려 것을 말합니다. 자신한 행동과 태도에 불편감을 해소하려 상황을 합리화하는 것 심리적 충격 때문에 눈에 보이는 결과 앞에서도 현실을 부정하고 제 생각이 옳다고 믿는다 가장 쉽게 많이 사용되는 예시로 늘 언급되는 여우와 포도 이야기가 있다. 여우가 나무에 열린 포도를 따 먹으려 노력하지만 결국 ..

야민정음 뜻 기원

국내 야구 갤러리+ 훈민정음의 합성어 야민정음은 디시인사이드라는 사이트에서 국내 야구 갤러리에서 만들어진 외계어 같은 한글 파괴 글자로 인터넷 커뮤니티 인터넷 개인 방송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지금도 새로운 야민정음이 만들어지고 있다 야민정음 단어 들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비 ↔ 네 유 ↔ 윾 근 ↔ ㄹ 멍 ↔ 댕 명 ↔ 띵 대 ↔ 머 등등.. 한글 자모를 모양이 비슷한 것으로 바꾸어 단어를 사용해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나 작은 글씨로 보면 헷갈린다 예시: 머머리(대머리) 네덕(비틱) 윾비(유비) 댕댕이(멍멍이) 트읶치(트위치) 띵작(명작) 야민정음이 한글을 파괴에 일조한다고 생각해 비판하는 사람이 많다.

네덕, 비틱 뜻 기원

인터넷 은어 중 하나로, 네이버 + 오덕후의 합성어이다 네덕을 야민정음으로 비틱이라 부릅니다 네가 비로 덕이 틱으로 = 비틱 정확히 말하긴 어렵지만.. 네덕은 말이 통하지 않고 고집불통에 자기 말이 무조건 맞다고 생각하며 부심을 부리고 타인의 무시하는 특수한 오타쿠를 말한다 (어리면 그런가 보다 하지만 나이먹고 민폐를 끼치는 나이값 못하는 오타쿠) 어떤 특정한 것을 독점하려 하고 우상화하며 과몰입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줍니다 이기심으로 똘똘 뭉쳐서 저작권 위반이나 모욕적 언행 같은 온갖 만행을 저지르지만, 본인은 인지하지 못한다. 네이버에서 활동하는 오타쿠에서 의미가 확장돼 네이버와 연관 없는 곳에서도 문제가 있는 오타쿠들에게 네덕 비틱 하며 조롱과 비하로 쓰입니다. 결코 좋은 뜻이 아니니 쓰지 않는 것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