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사전 18

양아치 뜻 기원

양아치 은근히 많이 쓰는 단어 이거 완전 양아치구먼, 양아치 세요? 이 양아치들!! 같은? 양아치는 행실이 불량한 사람을 비하하기 위한 은어라는 건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알고 싶어 글을 써봅니다 양아치라는 단어가 사전에 실린 것은 1991년 새우리말큰사전에 양아치라는 단어가 실렸고 그 뜻은 거지, 전쟁고아라는 뜻으로 풀이되었습니다 (구걸하는 동냥아치를 줄여서 양아치라 불렀다는 썰이 있다) 행실이 불량하거나 범죄를 저지른 10대 소년들에게 양아치라 불렸고 구걸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전쟁고아가 없어진 현재는 나이보다는 인격이나 행실을 보고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 양아치라 부릅니다 뜻을 정확히 알고 보니 더욱 찰떡 처럼 느껴지는 단어 양아치.. 조폭들 발작 버튼이니 양아치라는 말은 삼가하자

국룰 뜻 기원

國 + rule 의 합성어입니다 國 + LOL 로 아는 사람도 많다 (사실 원조가 뭔지 모르겠다..) 나라국 + 룰 국제 룰, 국민 룰을 말합니다 그렇다고 꼭 국제적인 룰이 있는 올림픽 대회 같은 운동족목에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기보단 동네 친구들끼리 만든 게임규칙이나 별것 아닌 하찮은 규칙,관행에도 국룰이라 씁니다. 유행하는 대세를 따르는 것도 국룰 (이거 국룰인데, 이거 국룰이야, 국룰인거 모르니?) ※특정 행위에 불문율로 사용 가능※ 이거 국룰인데? 예 : 유행하는 것을 하지 않았을 때 게이머들끼리 만든 게임 규정을 따르지 않을 때 (게임마다 게이머들끼리 만든 게임룰이 있다) 히든, 사기 캐릭터 안 고르기 정말 특정할 수 없을 만큼 셀 수 없이 응용해 사용 가능 어디에 써도 찰떡같이 어울리는 국룰인데..

소확행 뜻 기원

자주 쓰이는 신조어 소확행 소확행 (小確幸) 원래 소확행이란 말은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 랑겔한스섬의 오후에서 나온 말로 갓 구운 빵을 손으로 찢어 먹을 때,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정리된 속옷을 볼 때 느끼는 행복과 같은 일상에서 느끼는 작은 즐거움이나 행복감에서 나온 신조어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 소확행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작지만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행복이나 그러한 행복감을 추구하는 삶을 뜻한다 예 : 맛있는 것 먹기, 쇼핑하기. 여유 있게 커피 마시기, 게임 소액 결제하기,등등 작은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자강두천 뜻 기원

자강두천 중국 무림계에서 사용할 것 같은 사자성어 같아 보이지만 자존심 강한 두 천재(바보)의 대결의 줄임말이다 리그오브레전드 페이커와 도파의 최악의 경기를 롤갤에서 어떤 네티즌이 이 경기의 장면을 캡처하여 `자존심 강한 두 천재의 대결`이라고 조롱하며 올렸고 이후에 모 해설가가 `자강두천`이라는 말을 종종 사용하게 되며 유행어처럼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용호상박 사자성어와 비슷한 느낌이지만 실상은 조롱의 의미로 사용된다 바보같이 자존심만 쎈 둘의 엉망진창 대결에 사용된다

그린라이트 뜻 기원

그린라이트(green light)는 영어권에서 쓰이는 관용적 표현이다. 승인, 허락, 통과, 사적인 관계, 특히 남녀 관계 등에서 관계에 대한 `허락`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되던 것이 한국에 물건너 왔다 마녀사냥이란 프로그램이 유행시킨 유행어다 그린라이트 예: 밥 먹자 데이트 신청하는 것 같은 상대에게 다가가 가려는 행동이 보일 때 그린라이트!

밈(meme) 뜻 기원

Internet meme 줄여서 `meme(밈)`이라고 합니다. 인터넷에 재미있는 어떤 사진이나 영상 등이 유행을 타 퍼지며 여러의 버젼으로 변형되며 인기가 유지된다. 인터넷의 트랜드와 같다. (예 : 사딸라, 심영,박찬호 투머치 토커 싱하형 등)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가 발전하지 않았던 시기는 사진이나 동영상파일이 이메일을 통해 퍼지던 것이 인터넷 커뮤니티의 발전으로 재미있는 사진이나 영상 귀여운 것 무서운 것 등등 제한 없이 그냥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것을 밈이라 부른다 합성요소, 패러디라고 할 수 있는 모방 가능한 유행 한국어로 쉽게 짤, 짤방이 밈과 같다.

레게노 뜻 기원

레게노는 초성(ㄹㄱㄴ) 트위치 스트리머 우왁굳 방송에서 생겨난 유행어이다 마인크래프트 방송 중 피곤한 지금의 우왁굳의 아내분이 레전드 (LEGEND)를 잘못 읽어 생겨난 신조어 말실수가 신조어를 탄생시키다니 대단한 영향력이다. 인터넷에서 자주 쓰는 레전드 (LEGEND) 대신 신조어로 LEGENO로 자주 쓰인다 뜻은 우리가 자주 쓰는 레전드 (LEGEND)와 같다. 어떤 것에 뛰어난 걸 보면 자주 사용되는 감탄사처럼 초성 ㄹㄱㄴ 많이 쓰이고 있다 레전드 = 레게노

아만보 뜻 기원

아만보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표현을 줄여 아만보라 사용하는 신조어다. 미술사학자유홍준 교수님의 베스트셀러 책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 소개하던 문구 "아는 만큼 보인다."라 쓰인 것이 유행을 타 널리 퍼지기 시작했고 현재 줄여 아만보라 사용하게 된 것 게임에서 실력이나 경험이 부족해 판을 읽는 눈이 부족한 사람에게 무시하거나 조롱하듯이 사용한다. 게임을 훈수하는 사용자들끼리 서로를 비난할 때도 많이 쓴다... 국어사전에 있다..

로이더 뜻 기원

로이더란 스테로이드같은 "불법 약물 사용자를 말한다." 모든 스포츠에 모두 사용 될 수 있지만 주로 약을 쓰는 피트니스 모델이나 보디빌더 선수에게 주로 사용하는 신조어다 사전에도 없다.. 약물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근회복 속도 근 성장 속도를 따라올 수 없고 불법 약물 사용은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다. 만화에나 볼 엄청난 근육을 단시간에 만드는 치트키 같은 약물 엄청난부작용은 감수해야 한다.

찐따 뜻 기원

찐따라는 단어를 쓰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좋은 말이 아닌 건 알고 있습니다. 찐따라 듣는 사람은 어수룩하거나 남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에게 쓰는 비속어 입니다. 바보처럼 가벼운 비속어 같지만, 그 뜻과 어원은 그리 가볍지 않다. 절름발이 양다리의 길이가 다른 장애를 가진 사람 같은 걷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을 뜻하는 비속어다. 일본어 절름발이 찐빠(ちんば) 가 찐따가 된 것.. 뜻도 그렇고 단어의 탄생이 일제강점기의 잔재어라니 상당히 불편하다. 실제 다리가 불편한 사람 앞에서 사용하면 큰 실례가 될 수 있는 비속어다. 조심하자 찐따라는말 안 쓰는 게 좋겠네요 나쁜 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