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근들갑 뜻 기원

인터넷 커뮤니티 댓글이다 게시글에 종종 등장하는 근들갑이다 근들갑 떨지 마라라고 보통 사용합니다.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어느 한 유자가 루리웹을 비하하기 위해 쓰이던 것이 그  시작으로 대단하고 엄청난 단어 앞에  "갓ㅡ" 을 넣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루리웹이라는 이름 대신에 근근웹이라 쓰는데 루리웹 = ㄹㄹ웹 = 근근웹 근근웹 혹은 루리웹 간첩을 줄여 근첩이라 부르기도 하며 근과 호들갑을 합쳐진 접두사 입니다 "근ㅡ"근+호들갑 = 근들갑  호들갑 앞에 근만 붙인 것이지 호들갑과 뜻은 같습니다 호들갑 = 경망스럽고 야단스러운 말이나 행동을 하는 말 부정적인 단어 앞에 근을 붙여 응용해 무수히 많은 단어들을 만들어 쓰이기도 합니다.  예시 국밥 = 근밥 코끼리 = 근끼리 감자탕 = ..

땐땐모찌, 때때모찌 뜻 기원

땐땐모찌 혹은 때때모찌라고 둘 다 사용합니다. 처음 들어보면 일본어 같기도 한것이..  저 사람 떄때모찌다, 때때모찌 손님 왔네, 처럼 사용하는데 돈 쓰는데 인색한 사람을 뜻하는 경상도 사투리입니다. 경상도 사투리다 보니 대부분 경상도가 고향인 사람들이 많이 씁니다. 구두쇠나 짠돌이를 대신에 사용한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때때모찌는 약간 부정적으로 쓰이며 떄때모찌 대신에  순화된 표현인 헤프지 않다를 뜻하는 "야물다"라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단어가 억양이 재밌고 입에 감기는게 자주 쓸 거 같은 단어네요 예시 쟤 돈안쓰는 때떄모찌 때때모찌 짓 한다. 때떄모찌로 산다

빨간약, 파란약 뜻 기원

인터넷에서 빨간약, 파란약에는 철학적이고 꽤나 심오한 뜻이 담겨있지만  인터넷에서는 보통 유명인 특히 버튜버와 관련되어 많이 쓰이는데  실제 모습을 모르는 연예인이나 버튜버 캐릭터 뒤에 가려진 인물의 실물이나  인성 같은것들을 알게 되는 것을 빨간약이라 표현하고 콘셉트이나 방송적인 모습을 있는 그대로 좋아하고 진실을 보려 하지 않는걸 파란 약이라 합니다. 빨간약, 파란약을 기원이자 유행시 킨 건 1999년작 영화 매트릭스 때문에 유행을 타게 되었습니다 작중 주인공 '네오'에게 반란군 '모피어스'가 빨간약을 먹을지 파란약을 먹을지 선택하라고 합니다 빨간약은 보이지 않던 진실을 보게 될 것이고  파란약은 진실을 모른 채 보이는 것만 보며 살아게 된다고 선택하라고 합니다.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이런 빨간약과..

맑눈광 뜻 기원

맑눈광 최근 예능프로그램 SNL에서 맑은눈의 광인이라는 캐릭터로 꽤나 큰 호옹을 얻었었죠 그 맑눈광은 맑은 눈의 광인의 줄임말입니다 MZ세대들에서 가끔씩 보이는 특별한 인물로 맑은눈의 광인 특징은 순백의 도화지 같은.. 난 아무것도 몰라요 하는 순진한 표정에눈에서 빛이 나며 알 수 없는 미친 광기가 있는 사람을 뜻하는데 이런 사람들의 무서움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돌발성과 맑은눈 속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예상조차 하기 어려운 진정한 광인이기 때문입니다. 뻔뻔해 보일만큼 당당하며 자기주장이 확실한 특징이 있습니다(따지고 보면 설득력 있음)혼을 내도 이게 반성을 하고 있는 건지 반항심에 부글부글 끓고 있는 건지 알 수가 없어상대하는 사람을 두렵게 하는 심연 그자체..

오모리 뜻 기원

오모리 오모리 김치찌개가 요즘 인기인데 인터넷 커뮤니티에 오모리 김치찌개를 가지고 굳이 김치찌개에 일본말 오모리를 넣은 것에 불편함을 드러내는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오모리라는 단어 자체가 어감도 그렇고 누가 들어도 일본말 같지만 놀랍게도 한국어입니다 오모리는 전남 지방에서 쓰는 방언으로 3년 정도 숙성된 김치를 담는 독을 오모리라 부릅니다 방언 중 오모가리라는 단어도 있는데 뚝배기를 뜻합니다일본어 단어 중 오모리라는 단어가 존재하긴 합니다 오모리(おもり) 낚싯봉을 뜻합니다 오오모리(とくもり) 곱빼기, 가득이라는 의미가 있는 단어입니다 오모리라는 단어를 저도 처음 듣고 일본어인가 했는데 전남 방언이라는 것에 놀랐습니다

거마비 뜻 기원

거마비 오래전부터 쓰이던 단어지만 요즘은 잘 쓰지 않는 추세로 보입니다 보통 거마비 줬다, 거마비 챙겨줬다 이런 식으로 쓰지요 거마비(車馬費) 수레나 말을 타는 비용이란 뜻으로 교통비를 뜻합니다  조선시대 부터 쓰이던 단어로, 과거 수레나 말을 이동을 도왔다면말이나 수레 주인에게도 무언가 금전적인 이득이 있어야겠지요 자선단체도 아니고인심 혹은 차비정도 챙겨주던것으로 쓰이기도 했지만 관료들이 거마비라는 명목으로 뇌물을  받을때 더 많이 쓰였다고 합니다.  금전적인 보상을 뜻하는 거마비를 요즘은 명목상 교통비나 목욕비, 수고비, 사례비 등으로 상황에 맞게  대신 사용하다 보니 거마비라는 단어는 잘 쓰지 않는 추세입니다.

나락 뜻 기원

요즘 너무 자주 보이는 단어 "나락" 나락 갔다, 나락이네, 나락이다,  구글에 나락을 검색하니 이누야샤에 등장한 나라쿠가 뜨는 것도 묘했습니다나락이 부정적인 뜻을 담고 있는 것은 알고 있으나 정확히 무엇인지 찾아보았습니다 나락은 불교에서 큰 죄를 지은 사람들이 가는 곳을 뜻하는데 우리가 잘알고 있는 지옥을 말합니다 奈 (어찌 내(나)) 落 (떨어질 락(낙)) 산스크리트어인 나라카(Naraka) 발음을 그대로 옴겨 쓴 것으로 불교에서 쓰는 단어로 지옥을 나락이라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사고를 치거나 큰죄를 지었을 때  도저히 벗어날수 없는 극한의 상황에 처했을 시 나락에 갔다고 많이 씁니다 사고를 친 사람은 실제 현재 상황이 지옥과 같은 상황일 테니..

바보 뜻 기원

바보 일상에서 참 많이 듣고 쓰는 단어 "바보" 바보란 지능이 부족하고 정상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사람을 낮잡아 부르는 단어입니다 실제 지능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쓰기보다는 일상에서 어리숙하거나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핀잔을 주기 위해 사용하지요선천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바보라고 했다간 쓰레기로 낙인찍히겠죠.. 바보라는 뜻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테고 바보의 유래가 무엇인지 궁금해 찾아보고 글을 써봅니다 바보는 원래 밥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밥을 유달리 많이 먹는다를 뜻하는 밥보에서 변형되어 바보가 되었다고 합니다 과거 밥 먹는 식탐이 있는 사람들이 어리석다 여겼고 여기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몽니 뜻 기원

몽니 몽니 부리다, 몽니쟁이 일상에서 쓰이는 이 단어는 정말 잘 쓰이지 않는 단어 중 하나인 거 같습니다 상당히 낯설고 처음 듣게 되면 무슨뜻인지 예상조차 하기 힘들죠 몽니라는 단어를 대중들에게 알린 사람은 김종필 총리가 몽니 부르겠다고 한 발언이 크게 이슈 되며 몽니라는 단어가 알려지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몽니란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할 때 권리를 주장하기 위하여 심술을 부리는 성질 뜻합니다 보통은 음흉하고 심술 궂게욕심 부리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몽니 부린다고 사용합니다 몽니를 쓰는 연령대도 높다 보니 요즘은 정말 듣기 힘든 단어입니다몽니와 비슷한 '몽짜-치다'라고도 많이 쓰는데 이 뜻은 겉으로는  어리석은 체하고 속으로는 자기 할 일을 다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역과, 역과 사고 뜻 기원

역과, 역과 사고 물론 과거 조선시대 과거시험 역과(譯科)는 아닙니다.. 뉴스나 신문에서 심심치 않게 보이는 역과, 역과 사고라는 단어 역과는 단어는 칠 역(轢)에 니잘 과(過) 밝고 지나가다 즉 자동차 같은 어떤것의 하부로 사람이나 물체가 들어가 밟고 지나가 다를 뜻합니다 상상만 해도 무서운 차사고 중 가장 끔찍한 사고이기도 합니다 예시로 버스 역과사고다 자동차가 역과했다를 보면 이제 바로 알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버스가 밟고 지나갔다 자동차가 밟고 지나갔다는 뜻과 같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