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갈지자 뜻 기원

일상보다는 뉴스에서 주로 쓰이는 단어에 가깝고 사건사고에서 주로 쓰이는 단어 갈지자란 단어는 음주운전 후 갈지자 도주,   갈지자 운전, 갈지자걸음, 몸을 가누지 못하는 갈지자 걸음걸이 등으로 쓰이는데 꼭 걸음걸이에 국한된 단어는 아닙니다 우왕좌왕 갈피를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갈지자를 붙여서 쓰기도 합니다 갈지자 운영, 갈지자 투자, 갈지자 정책 이리저리 굽어 있거나 좌우로 똑바로 걷지 못하는 이상하게 걷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한자 ‘之’(갈지) 의 모양에서 유래한 말입니다.비스듬히 걸어가는 모습을 글자 모양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갈지자'라는 말은 걸음걸이의 모양새를 형상화한 것으로, 방향감각이 부족하거나 결단력이 약한 사람들의 걸음걸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됩..

녹록지 않다 맞춤법, 뜻 기원

잘 쓰이지 않는 단어이기도 하고 무슨 상황에서 쓰이는지 대충을 알지만 정확히 알고자 글을 써봅니다 자주 쓰이지 않다 보니 맞춤법이 뭐가 맞는지 헷갈리는데 녹녹치 않다? 녹록치 않다? 녹록지 않다? "녹록지 않다"가 맞는 맞춤법입니다 녹록지 않다를 알기 위해서는 "녹록(碌碌/錄錄)"이라는 뜻을 알아야 겠죠 생소한 이 단어는 편하다 쉽다를 뜻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알수 있지요 녹록지 않다는 소리는 호락호락하지 않다, 쉽지 않다, 편하지 않다는 뜻이겠죠  힘들다, 어렵다 보다는 있어 보이게 "녹록지 않다"라고 고급진 언어 선택을 해주시면  지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으니  종종 대체해서 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요즘 정말 사는게 녹록지 않네요

분탕,분탕질 뜻 기원

분탕질 일상에서 혹은 인터넷 커뮤니티나 뉴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단어죠 '분탕' 분탕(焚蕩) 불사를 분에 방탕할 탕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미꾸라지 하나가 분탕친다라는말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일상에서는 분탕질한다, 분탕친다, 분탕 하다,라고 많이 쓰는 분탕은 세 가지 뜻이 담겨 있습니다 재산을 다 없애 버리다. 아주 야단스럽고 부산하게 소동을 일으키다. 남의 물건을 훔치다. 일상에서혹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분탕질을 혼란이나 소란을 조장하는 특정 사람을 비하할 목적으로 지칭해 쓰는 멸칭에 가깝게 쓰입니다. 분탕+질 분탕+ 종자 분탕+충 등 영 좋지 못한 것들을 합성해 부르고 생성되고 있습니다. 특정 그룹에 의도적으로 갈등을 일으키는 악질 중에 악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익명성이 보..

삔또 뜻 기원

삔또 일상에서 자주 듣고 자주 쓰는 단어 '삔또' 보통은 삔또 상하다 삔또 나갔다라고 많이 사용하는데요 지방 사투리 같기도한데 삔또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느낌부터가 일본어 같은데 일본어가 맞았습니다  삔또(ピント) 초점, 요점을 뜻하는 일본어입니다 삔또도 사실 네덜란드어에 초점을 뜻하는 brandpunt(브란드푼트)를 일본인들이 핀토! 핀토 하는것을 한국사람들이 삔또라고 따라 쓰며 수입에 수입이 된 단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삔또가 한국으로 넘어와 기분이 상하다를 삔또 상했다고 쓰게 된 것입니다 영어로 포커스와 그 뜻이 같다고 합니다 입에 착착 감기는 마성의 단어지만 일제의 잔재인 삔또보다는  자존심이 상했다, 기분이 상한다. 기분 나쁘다 라고 쓰는 게 좋겠습니다

센치하다 뜻 기원

센치하다 일상에서 은근히 흔하게 쓰는 센치하다는 가수 노래 제목으로 까지 나왔는데요 센치하다가 뭔지는 대충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어서 궁금해서 글을 써봅니다. 센치하다는 상대방이나 자신의 감정상태를 말해주는 단어입니다. 그 감정은 쉽게 슬퍼지거나 감동하는 감정적인 상태를 뜻합니다. 비가 오거나 늦은밤 풍경이나 과거 회상 같은 감정의 동요가 생길 분위기나 상황에서 센치함이 발동됩니다. 예전 센치하다가 없던 시절에는 그 상황에서 감상적이다, 감성적, 감정에 젖다. 정도로 쓰이던 것이 포괄적으로 센치하다로 통합이 된 느낌 입니다 정서적인, 감상적인을 뜻하는 센티멘탈(sentimental)에서 시작된 신조어로 '센치하다'라는 말은 감정적이고 감상적인  성향을 지닌 사람을 표현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

국가권력급 뜻 기원

요즘 들어 뭐만 하면 국가권력급 국가권력급 하는데 국가권력급은 유명 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에서 유래된 재미있는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특정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독보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을 표현할 때 국가권력급이라 사용되고 있습니다. 웹소설 작중 주인공 성진우는 '국가권력급'이라 불릴 만한 사기 능력을 가진 캐릭터로 그려지며 한 국가와 맞먹는 힘을 가졌다 소개합니다.이 용어가 본격적으로 쓰이게 된 계기는 인터넷 방송인 랄로가 메이플랜드 플레이 중 사용하면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후로 '국가권력급 무기. 국가권력급 자장면',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가권력급'이라는 표현은 멋지고 입에 감겨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축구 실력, 몸매, 노래, 그림실력등 ..

갈지마오 뜻 기원

처음 들으면 중국어? 일본어? 같기도한 '갈지마오'는 경상도 지역의 방언으로, 특정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막무가내로 행동하는 사람이나 그런 행위를 나타내는데 쓰인다고 하네요. '갈지마오'는 경북이나 경남 지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언 단어입니다. 실제 경남이나 경북 지역 뉴스나 커뮤니티 등에 종종 갈지마오라는 단어가 쓰입니다. 예를 들어 "갈지마오 잡혔다", "갈지마오 하다", "갈지마오 인생" 등의 문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갈지마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는 '막무가네'나 '무대포' 등이 있습니다. 말을해도 듣지 않고 막나가는 사람들..지역에 따라 사용되는 방언은 그 지역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갈지마오'라는 단어가 직설적이고 강한 성격이 잘 드러..

기시감 뜻 기원

기시감 기시감(旣視感)이라니까 낯설고 어려운 다너처럼 느껴지지만기시감은 여러분이 많이 쓰고 들어보셨을 단어 데자뷰(Déjà vu)를 말합니다.누구나 한번쯤 격어봤을 것입니다때때로 우리는 현재 경험하고 있는 상황이 이미 한 번 경험한 것 같은 느낌을 받곤 합니다. 이런 경험을 기시감이라고 합니다. 이 상황은 예전에!?꿈에서!?기시감은 우리 삶에서 자주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시감이 우리 뇌의 기억 처리 과정에서 오는 착각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기시감은 단순한 착각이 아닌, 신비로운 경험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미 한 번 경험했던 것 같은 느낌은 우리가 과거에 꿈꾸었거나, 다른 차원의 세계에서 살았던 것 같은 느낌을 불러일으킬 수..

후레자식,호로자식 뜻 기원

후레자식, 호로자식,후래자식, 호래자식, 비슷한 욕이 많은데 그 뜻이 미묘하게 약간씩 다르지만 공통점은 폐드립에 가까운 부모 욕설이라는 것입니다.  심오한 욕의 세계.. '호래자식'이라는 표현도 '후레자식'과 관련이 있는데, '호래자식'은 '홀(외로운) 자식'을 의미하며,  부모가 없거나 교양 없이 자란 사람을 지칭합니다.   후레자식은 교양이나 예의범절이 없는 사람을 비하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의 어원은 '호로(胡虜)'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는데, '호로'는 '오랑캐'를 뜻하는 비속어입니다.  따라서 '후레자식'은 '오랑캐의 자식'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오랑캐들이 설치던 그 시절에 오랑캐 보다 더 나쁜 심한 욕설은 없었기 때문에..'호로자식'이라는  표현은 오랑캐에게 끌려갔다 돌아온 여성이..

마이크 워크 뜻 기원

마이크워크 마이크 워크(Micwork)는 마이크 (Mic) + 일 (work)의 합성어인것으로 보입니다.마이크를 쥐고 하는 작업이나 일을 뜻하는듯 합니다.프로레슬링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 입니다 프로레슬링은 초창기에 선수들의 경기가 주를 이루던 볼거리 었지만 시간이 흐르며 관객들의 흥미와 재미를 고조시키기 위해 무지성 경기만 하는 것이 아닌 경기에 스토리를 넣기 시작했고 큰 인기를 끌게 됩니다당연하게도 관객들에게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해 레슬러들은 마이크를 사용했을테죠, 레슬러들은 자신의 캐릭터를 만들고 자신만의 성격과 스토리를 만들어 행동하며, 관객과의 유대감 형성을 기반으로 대중적으로 어필하게 됩니다.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마이크 워크는 프로레슬링에서 없어서는 안 될 부분으로 자리 잡았고과거에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