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9

서동요 기법 뜻 기원

서동요 기법 서동요 기법을 알기 전 서동요가 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서동요는 어릴 적 들어보셨을 겁니다 신라 무왕의 이야기가 담긴 동요입니다 무왕은 어려운 가정환경에 마를 캐서 파는 일을 하며 살던 청년이었습니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지만 아직 혼인을 하지 않았다는 말을 듣고 마을 아이들에게 자신이 만든 노래를 부르게 했는데 그것이 서동요 입니다 서동요의 내용은 선화공주가 사랑하는 사람이 있고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뭐 이런 불순하기 짝이 없는 가사를 만들어 부르게 하였고 신라에 순식간에 노래가 소문이나 왕이 사는 궁궐까지 노래 소식을 들려오게 됩니다 억울하지만 공주는 궁에서 쫓겨나 노래를 퍼트린 장본인 무왕과 결혼을하게 된다는 그런 이야기입니다 서동요 이야기를 들으니 서동요 기법이..

18번 곡 뜻 기원

노래방 18번 일상에서 너무나 흔하게 쓰고 듣는 단어죠 노래방 18번 너 18번 뭐야 하며 쓰는데 당연히 뜻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고 잘 부르는 노래를 보통 18번 곡이라고 하지요 이 노래방 18번이라는 문장이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해 글을 써봅니다 그 시작은 일본 가부키 연기자 이치가와 단쥬로라는 사람이 자신의 가문에서 내려오는 가부키 연극 가운데서 엄선해 18곡을 뽑아발표했는데 이것이 큰 화제가 되었고 (참고로 가부키는 17세기 부터 시작된 일본 전통 연극, 노래, 춤 같은 걸 보여주는 공연 예술입니다) 때문에 좋아하는 극이나 노래를 18번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18번이라는 유행어가 자리 잡던 시기가 일제강점기였고 일본인들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일제의 잔재로서 부정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

해병 빠삐코 뜻 기원

해병 빠삐코 해병 관련 단어는 늘 좋지 않았는데 역시 부정적인 조롱의 의미가 담긴 단어입니다 해병 빠삐코의 시작은 푸른거탑이라는 군대 관련 예능 프로그램이 유튜브에 올라와 볼 수 있게 되었고 이때 유튜브에 과거 복무했던 해병대 과거 썰을 리플에 달았고 이것이 큰 파장을 가져왔습니다 전역자는 옛추억을 회상하며 쓴 댓글인데 이를 읽은 사람들은 충격과 공포에 빠뜨리는 후폭풍이.. 내용은 대략 이렇습니다 혹한기 때 간이 화장실을 치우며 꽁꽁 얼어붙은 똥을 깬 적이 있었다 얼어붙은 똥을 깨다 보니 얼어붙은 똥이 튀어 얼굴이고 입이고 튀어 들어왔고 입에 똥이 들어와 뭔가 모를 짭조름함을 느꼈다 뭐 이런 내용입니다 얼어붙은 똥이 초코 아이스크림 빠삐코와 흡사하겠다 생각한 사람들이 해병 빠삐코라 부르기 시작해 탄생한 ..

버저 비터 뜻 기원

버저 비터 버저 비터라는 말 당연히 익숙할 수도 있고 생전 처음 듣는 낯선 단어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 이유는 스포츠에서 쓰는 용어이고 농구에서 자주 쓰기 때문에 농구에 관심이 있거나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바께 없는 단어입니다 버저비터를 처음 들어보았다면 농구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해도 될거 같습니다 버저 비터의 정확한 뜻은 농구 경기 종료 직전 버저가 삐!!하는 소리와 함께 경기 종료 직전 마지막 슛을 쏘는데 이것을 버저 비터라 합니다 (농구 경기 마지막 부분만 보시면 삐!! 하고 종료 소리가 들리면 슛을 던지고 보는 선수들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경기 시간이 끝났다 하더라도 날아가는 공이 적 골대에 들어간다면 득점으로 인정됩니다 슛 하나로 경기가 뒤집히는 게임이 많기 때문에..

샤킹 뜻 기원

샤킹 슈킹과 혼용해 쓰는 경우가 있는데 단어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릅니다 샤킹은 영어 shocking으로 충격적인, 형편없는 같은 부정적인 뜻을 담고 있습니다 사실 샤킹은 카드 게임인 포커라는 종목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입니다 포커에서 쓰는 전문용어에 가깝지만 일상에서 종종 쓰는 사람을 볼수 있습니다 포커 게임도중 규칙을 어기거나 비매너 혹은 상대를 속이는 행위를 했을시 플레이어에게 샤킹을 했다 말합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샤킹의 예를 간단히 들어보자면 연기, 시간끌기, 입털기 정도 입니다샤킹을 했을시 자신이 배팅한 돈을 모두 몰수당하는 등의 큰 불이익을 줍니다 돈을 걸고 하는 게임이다 보니 매너를 중요시하는듯합니다 내돈이 걸려있는데 남을 속이고 깐죽거리는 비매너 행위를 했을시 정말 큰 싸움으로 번..

도게자 뜻 기원

도게자 인터넷 방송이나 인터넷 커뮤니티에 은근 보이는 단어 '도게자' 누군가에게 도게자 박아라, 도게자 해라는 소리를 종종 듣는데 도게자는 일본어 도게자 (土下座)이며 사죄의 뜻을 담아 절을 하는 것입니다 일본에서 일상적으로 하는 절이 아닌 아주아주 특수한 경우에만 하는 행동으로 극도로 존귀한 대상에게 공손의 뜻으로 혹은 부탁이나 사죄의 행동입니다 도게자의 시작은 과거 영주 같은 높은 계급에 있던 사람 앞에서 평민들은 도게자를 하고 있어야 했습니다 또 과거 사무라이들이 잘못을 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아야 할 상황에서 자신의 주인에게 바닥에 바짝 엎드려 빌었던 행동이 그 기원이라는 썰도 존재합니다 재밌는것은 과거에 도게자를 하면 웬만한 큰 잘못도 다 용서해 주는 분위기였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도게자를 한 당..

반갈샷 뜻 기원

반갈샷 예전에 반갈죽이라는 신조어를 다룬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반갈샷을 알아보겠습니다 10대 20대들이 주로 쓰는 MZ세대 용어라고 합니다 반갈샷은 어렴풋이 반으로 가른다는 것은 알겠는데 정확히는 무언가를 반으로 갈라 '샷' 사진을 찍어 올린다는 뜻입니다 그 시작은 빵입니다 안에 든 크림이 예전과 달리 엄청나게 넣어서 저렴한 저품질보다는 가격이 조금 비싸도 크림이 안에 넘칠만큼 듬뿍 들어있는 고퀄리티 빵으로 파는 추세입니다 반갈샷 빵으로는 연세 크림빵, 홈플러스 생크림폭탄단팥빵 정도가 있습니다 빵에 만족한 소비자들이 챌린지처럼 빵을 반으로 잘라 내용물을 보여주며 사진을 찍고 인스타 같은 SNS에 올리는 것입니다 제빵 회사도 홍보도 되고 매출 늘어나 좋고 소비자들도 크림이 가득한 빵을 먹어 좋은 오랜만에..

시아시,히야시 뜻 기원

시아시 일상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단어에 가까웠으며 나이 지긋한 아저씨들이 종종 특정 상황에서 쓰이던 단어입니다 처음 들으면 사투리인가? 할 수 있으나 사투리가 아닙니다 '히아시'혹은 '시아시'라는 단어를 종종 쓰긴 했지만 시아시를 유행시킨 것은 영화 타짜에 고니가 맥주를 마시며 했던 대사 덕분에 단어가 유명세를 타게 됩니다 시아시는 일본어에서 넘어왔으며 히아시(冷(ひ)やし)를 한국에서 시아시라 변형해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이 뜻은 차갑게 하다 냉을 뜻합니다 타짜에 고니가 했던 대사도 맥주가 시아시도 안돼가지고 라는 대사를 했었습니다 보통 차게 마시는 음료 주류을 마시는 상황에서 자주 쓰며 나이가 지긋하신 어르신들이 자주 쓰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의 잔재이기도 하고 약간 술집 같은 음지에서 쓰는 용어에 가까워..

로이드 레이지 뜻 기원

로이드 레이지 매우 낯설고 흔하게 쓰이지 않는 용어지요. 헬스 관련 뉴스나 게시판에서나 볼 수 있는 특정 분야에서 주로 쓰는 단어입니다 근육질에 성격 더러운 사람을 부르는 용어로 외국에서는 조롱에 가깝게 쓰입니다. 한국에서도 인터넷 뉴스에 폭행죄로 보디빌더가 나온 기사를보면 심심치 않게 로이드 레이지라는 댓글을 볼 수 있습니다로이드 레이지(roid rage)는 스테로이드 남용이나 오용으로 나타내는 부작용의 현상입니다. 불법으로 약을 쓰는 운동계쪽과 관련된 문제로 보디빌더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스테로이드 속에 들어있는 성장 호르몬 또는 남성 호르몬이 과도하게 높아진다면 근육이나 운동능력에 도움이 될진 모르나 호르몬이 높아짐에 따라 성격이 나빠지는 부작용이 생깁니다. 좋게 포장하면 남성성이 강해지는 ..

꼽다, 아니꼽다 뜻 기원

꼽다, 아니꼽다 아니꼽다란 비위가 뒤집혀 구역질이 날 거 같다 혹은 눈에 거슬려 기분 나쁘다를 뜻합니다 상대가 건방질때, 거슬릴 때, 불쾌할 때, 못마땅할 때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장이 뒤틀린다 라는 뜻을 지닌 옛말에서 시작되었으며 행동이나 말같은 어떤 것이 못마땅한 상대에게 보고 있자니 뱃속에 있는 장이 꼬여 뒤틀릴 정도로 기분 나쁠 때 하는 말입니다 꼽냐?, 꼽다, 아니꼽다 아니꼽냐? 같이 누가를 쏘아붙일 때 쓰는 표현에 가깝습니다 나 자신이나 타인이 느낄 수 부정적인 기분을 꼽더라 표현합니다 예전에는 가끔 사용되던 단어였지만 한 코메디언이 꼽냐는 유행어를 쓰며 대중화시킨 유행성 단어 이기도 합니다 그냥 별 생각없이 꼽냐 아니꼽냐?라고 많이 사용해 왔는데 이런 뜻이 숨겨져 있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