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박제 뜻 기원

박제 지금 이 박제는 우리가 잘 아는 생물의 가죽을 벗기고 생전 모습 그대로 보존하는 그 박제가 아닙니다. (뜻은 비슷하다) 인터넷 용어 박제입니다. 사건·사고 키배나 삭제 될 거 같은 글 중요하거나 내가 간직하고 싶은 게시글이나 댓글 같은 것을 아카이브, PDF 스샷같은 것으로 남겨서 나중에 언제든지 다시 보거나 남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폭넓게 어떤 것을 저장하였을 때 박제 했다고 쓰입니다. 이유도 다양한데 단순 저장용부터 반박용, 고소를 위한 자료나 망신을 주기 위해서 이유도 무궁무진합니다 유명인부터 일반인을 가리지 않고 내가 쓴 글이나 댓글, 사진 같은 것을 인터넷에 올렸다가 박제되어 영원한 흑역사로 남아 잊어 버릴 때쯤 박제된 흑역사를 꺼내 조리돌림 당하는 안타까운 상황들을 많이 ..

쿨찐 뜻 기원

쿨찐 쿨병에 걸린 찐따의 줄임말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쿨한척을 하며 자신은 어른스럽고 현명하고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특징 (방구석&인터넷 한정) 갑자기 분위기를 싸하게 만들고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며 학교에서 쭈구리로 생활하는 게 보통이다 오프라인에서는 순둥이지만 인터넷 안에서는 싸움닭으로 돌변합니다 항상 인터넷에서 욕을 처먹거나 키배 싸움질이 끊이지 않습니다. 현실에서의 낮은 자존감을 넷상에서 충족하기 위해 상대의 맞춤법이나 별것 아닌 것을 꼬투리 잡기 위해 눈에 불을 켜고 찾아내 비난하고 가르치려는 이해 불가의 행동을 합니다.(쿨한거?)  어른스럽고 똑똑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런 짓을 하는 게 대부분 (나는 너보다 많이 알고 있다, 난 똑똑해!! 댓글을 달때의 정보는 인터넷 검색 후 그럴..

부르주아 뜻 기원

부르주아 부루주아(Bourgeois) 11세기에 탄생했으며, 프랑스어로 성에 사는 부유한 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귀족이 아닌 부를 엄청나게 축척한 시민입니다. 시민 혁명을 통해 왕과 귀족들의 지배에서 벗어나 사회의 주체 세력으로 발버듬 합니다. 분노한 시민들에게 쓸려 나간 귀족의 빈 자리를 돈많은 평민이 자리를 채우고 과거 귀족보다 사치스러운 짓거리를 하던것이 부정적인 의미를 담게 된듯하다 부자들에게 부르주아라 부르기도 하지만 보통은 부패한 기득권들에게 부르주아라 비아냥거리기 위해 부릅니다 인터넷에서도 심심치 않게 부르주아 라는 글을 많이 볼수 있는데 돈자랑이나 허세 떠는 게시글을 쓰는 유저나 사고친 재벌들에게 부르주아라 조롱하듯 댓글을 다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있는척 하거나 돈좀 있다고 허세 부리는 사..

맘눌뎀 뜻 기원

맘눌뎀 처음에 듣고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 바르뎀이랑 연관이 있는줄 아랐습니다.. 트위터를 안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낯설다 맘(하트,좋아요) 눌(누르면) 뎀(DM 개인 메시지) 보냅니다의 줄임말 입니다 간단하게 내가 올린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면 너에게 개인 메시지를 보내겠다 입니다 한번 대화를 해보거나 진도가 더 나간다면 만남을 하자는 뜻이겠죠 보통은 순수하게 글귀나 게시물 홍보가 목적이지만 음지에서는 음란한 사진이나 만남을 위한 맘눌뎀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실수?로 맘눌뎀 테크가 된 야한 게시물에 좋아요를 눌렀다. 뎀(DM)이 올까 걱정하는 사람도 심심치 않게 볼수 있습니다 트위터에서 시작된 것이 유행을타 여러 타 SNS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신조어입니다 맘눌뎀에서 시작된 신조어가 파생되어 맘눌..

BSS 뜻 기원

bss bss는 일본에서 쓰이던 신조어로 BOKUGA SAKINI SUKIDATTA NONI 한국어로 번역하면 대충 내가 먼저 좋아했는데 라는 뜻입니다. 친구이거나 친한 관계로 상대를 짝사랑하지만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결국 다른 경쟁자가 나타나 그 이성과 눈이 맞아 사귀거나 결혼을 해버리는..내용을 말합니다 결말에 주인공은 가슴앓이만 하는 그런 내용을 bss물 이라 합니다 진짜 답답하고 화가 나는 결말이나 전개로 찝찝한 아쉬움과 여운이 많이 남아 호불호가 엄청나게 갈립니다 고백조차 못 하거나 고백하려던 이성을 무기력하게 빼앗기는 모습이 정말 압권 상당히 위험한 상대와 바람을 피우거나 육체적으로 빼앗는 ntr과 다르게 bss물은 피부로 와닿습니다. 아무리 모태솔로라도 짝사랑은 하는게 보통이다 한 번쯤은 ..

5꽉충, 7꽉충 뜻 기원

꽉충 인터넷에서 가끔씩 볼 수 있는 단어 꽉충 보통 5꽉충 7꽉충이라 꽉충 앞에 숫자를 넣어 사용합니다 꽉충은 다전제 경기를 하는 대회에서 마지막 세트까지 끌고 가 마지막 세트에서 결판이 나는 대회 경기를 말합니다 꽉(마지막 세트까지 꽉 채워서 경기한다) + 충(벌레)의 합성어입니다 앞에 들어가는 숫자는 몇승을해야 결판이 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요 보통 대회들이 3판2선승이라 상관없지만 결승전 같은 경우 관중들을 만족과 함께 최강 두강자들의 진검승부를 위해 보통은 5전 3승이나 7전4승 경기를 잡습니다 상대와의 실력 차이가 압도적이라면 5전 경기는 3경기에 7전 경기는 4경기에도 결승이 끝날수 있습니다 신기하게 유독 결승전에서 7전이나 5전 경기에서 마지막 경기까지 꽉 채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랜 시간 경..

꼽사리 끼다 뜻 기원

꼽사리 꼽사리 보통 꼽사리 끼다라고 하죠? 대충 뜻은 다들 알고 있으신 남이 노는 판에 끼어드는 일을 이르는 말입니다 놀랍게도 표준어 입니다 옛날 노름판에서 쓰이던 말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왔다고 합니다 노름판 판돈을 살(사리)이라 했습니다 도박판을 지켜보다 돈을 딸거같은 사람이 보일때 판돈에 자신의 판돈을 얹어서 돈을 따려는 얌체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곱살이라 했다고 합니다 살(판돈) +살(본인 판돈)을 얹어 판돈이 두배 곱이 되었다 하여 곱살, 지금의 꼽사리가 된것입니다 시작부터 도박장에서 시작한 만큼 부정적인 뜻이 강합니다 위험부담은 상대에게 모두 떠맡기고 기생하며 얍삽하게 이익을 챙기려는 사람이라 볼수 있습니다 꼽살이 끼지 맙시다

알파걸 뜻 기원

알파걸 알파(Alpha)+걸(Girl)의 합성어입니다. 알파걸(Alpha Girl) 알파는 그리스 알파벳 첫 번째 자모 (α) 알파에서 따왔습니다. 우두머리, 1등, 최고를 뜻하기 위해 그리스 알파벳 첫 글자에서 따온 거 같습니다. 알파걸이라는 신조어를 만든 것은 하버드대 심리학자 댄 킨들러 교수의 책을 통해 유행을 타게 되었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사회적 지휘를 갖추고 능력이 있는 여성을 알파걸이라 부릅니다 어딜 가나 빛이 있으면 어둠이 존재하는 법, 알파걸에 밀리는 알파걸보다 능력이 부족한 남자를 베타보이라 부릅니다 그리스 알파벳 (α)알파 다음 글자인 (β)베타를 붙여 진것입니다 알파걸이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들러리라 볼 수 있습니다 능력이 있는 알파걸과 함께 사는 부족한 남자, 알파걸에게 순종하는 남..

편육캠 뜻 기원

편육캠 편육캠이라는 단어는 누가 최초로 사용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지금으로부터 4~5년 전에 트위치라는 개인방송 플랫폼에서 최초로 사용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편육캠이라는 단어는 편육+캠으로 우리가 잘 알고있는 돼지머리나 소머리를 같은 것을 무거운 돌 같은 것으로 눌러서 만드는 바로 그 쫄깃하고 맛있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바로그 편육과 개인방송에서 쓰이는 pc 라이브 캠을 말합니다 전혀 연관이라고 없어보이는 이 두 단 어가 왜 합쳐졌느냐 스트리머가 캠을 보통 상체까지 보이게 송출하지만 편육캠은 최대한 캠을 당겨서 머리만 보이게하고 방송에 송출하는데 그 모습이 편육을 누르기 전 삶은 원형 그대인 소 돼지 머리통 같다 하여 편육캠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외모가 뛰어나든 아니든 방송에 시청자들의 재미를 올릴..

롸?! 뜻 기원

롸 롸? 롸!라는 유행어는 2014년 어느 익명 커뮤니티 게시판에 자신이 겪었던 썰을 쓴 것이 유행을 타 유행어로 자리 잡게 됩니다 밈과 유행어의 탄생은 정말 예상할 수 없구나를 또 한 번 느낍니다 괴와 카페에서 영어 노래만 듣다가 우연하게 가수 비님이 부른 라송을 듣게 되었고 랄랄라라라 후렴구가 꽂혀 선생님께 네?라고 말 해야 하는 걸 자신도 모르게 라? 라고 말해 혼자 빵 터져 웃었다는 내용의 글이었습니다 LA SONG 들어보면 정말 묘하게 중독성있습니다 태진아님과 비님이 함께한 무대는 정말 최고! 시작은 라?이지만 앵? 예? 어?대신 '롸'로 변화했으며 주로 충격적인 상황에 의문이나 감탄사로 쓰입니다 처음 글을 올린 커뮤니티에서만 쓰이던 것이 유행타 수출되어 여러 모든 커뮤니티에서 쓰이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