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모에, 모에화 뜻 기원

모에화 모에화(萌え化) 혹은 모에 의인화(萌え擬人化)로 쓰입니다. 일본에서 탄생한 신조어로 모에는 일본 오덕 용어로 매력있는 매력 요소를 뜻합니다. 글로벌하게 Japanizing, 萌え化,Moe anthropomorphism로 많이 사용 됨 Japanizing가 가장 유명하고 많이쓰입니다 외국에서 Japanizing BEAM 밈이 유행을 탔는데 모에화 전 인물이나 물건과 모에화 된 캐릭터 중간에 울트라맨이 빔을 쏘는 짤을 넣고 Japanizing BEAM라는 글을 적어 넣고 Japanizing BEAM에 맞고 어떤 인물이나 물건이 모에화 빔을 맞고 변했다고 짤을 만드는 것이 유행을 탄 적이 있습니다 모에+화 = 매력을 느끼게 바꾼다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 모에화에는 사물, 실존 인물, 현존하는 창작 캐릭..

철벽녀 뜻 기원

철벽+녀 철벽녀는 이성이 호감을 느끼고 다가오면 철벽을 치는 것 처처럼 거부하는 여성을 말합니다 평균 이상으로 준수한 외모를 가지고 있고 성격이 이상하냐 그렇지도 않습니다. 성격 좋다는 소리도 많이 듣고 이성과 동성에게 인기도 많습니다 외모 성격 뭐하나 특별하게 빠지는 것은 없지만, 이상하게 이성이 다가오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며 연애를 횟수가 없거나 많지 않습니다. 이성이 많은 곳을 싫어하고 이성이 많이 없는 곳을 좋아합니다 따지는 것도 많고 시작도 안한 사랑에 비관적 주위에서 눈이 높은 거 같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남녀간의 간 보기 썸조차 거부하고 이성이 다가오는 것을 원천 거부합니다 이성의 스킨십도 극도로 거부해 괜히 손잡기 같은 스킨십했다가 아무 여자나 찝쩝거리는 남자 혹은 성추행범이 될 수 있으..

건어물녀 뜻 기원

건어물녀 2000년대 초반까지 잘 쓰이다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 건어물녀, 건어물녀(干物女)는 일본 신조어가 바다 건너 한국까지 왔습니다 일본 만화 호타루의 빛에 등장하는 주인공 아메미야 호타루의 일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작중 호타루는 연애를 포기하고 직장 생활하는 여성입니다. 직장 내에서는 흠잡을 곳 없이 완벽하게 일을 잘하고, 외모 또한 깔끔 반듯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일을 마치고 집에 들어오면 그녀의 본모습이 나옵니다 청소 따위는 하지 않는 지저분한 집안,(피곤해서 못 한다..) 오래된 티셔츠에 출처 불명의 츄리닝을 입고 뒹굴뒹굴하고, 건어물 안주를 씹으며 마시는 시원한 맥주 한잔으로 힐링하는 하이퍼 리얼리즘이다. 만화는 미혼 여성을 대변해주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며 일본에서 많은 공감을 얻었고 건어물녀..

햄최몇 뜻 기원

햄최몇 햄최몇은 햄버거 최대 몇개 드실 수 있나요? 의 줄임말 입니다. 햄최몇이라는 단어의 사용처는 뚱뚱해 보이거나 많이 먹을 거 같은 외모를 가진 사람을 놀리기 위해 쓰입니다. 진짜 악의 없이 순수하게 최대로 먹는양이 궁금해 물어보는 일도 있다. 한꺼번에 먹을 수 있는 햄버거 숫자나 짜장면, 라면 숫자를 통해 그 사람의 한꺼번에 먹는 양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은 놀리기 위해 물어본다) 최초로 햄최몇이 유행을 탄 것은 10여년전 어떤 여학생이 인터넷 카페에 자신의 셀카를 올렸고 사진을 본 어떤 유저가 햄버거최대 몇 개 드실 수 있나요? 라 댓글을 단 것을 보고 너무 웃겨 퍼져나가 인터넷에서 유명해져 줄임말 햄최몇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여학생의 셀카와 기가 막힌 댓글이 없었다면 세상에 나오..

TMI 뜻 기원

TMI TMI는 Too Much Information의 줄임말입니다 번역해보면 너무 많은 정보? 너무 과한 정보? 번역과 같이 지나치게 많은 정보를 굳이 알고 싶지 않은 이야기까지 상세하게 말하는 것을 말합니다 TMI를 하는 사람은 잘 모르겠지만 TMI를 듣는 사람은 지옥 같은 시간과 같다. TMI를 유행은 특이하게 정치인에서 시작되었다. 정치인들 과한? 소통으로 TMI를 해버렸고 쓸데없는 정치인의 별자리나 과거 이야기를 하며 유행을 탔다. 2017년에 트위터에서 퍼져나가 TMI는 큰 유행을 타게 됩니다 짧게 말할 수 있는 내용도 TMI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언제쯤 끝날까 생각하게 될 만큼 지루하게 길어진다. (개인적으로 줄임말이나 짧게 말하는 것 보다 TMI가 더 낫다.) TMI로 말을해 상대를 지치게..

올려치기 뜻 기원

올려치기 뜻을 모르고 들으면 권투에서 주먹으로 상대 턱을 올려 치는 공격을 말하는 건가 싶은데 맞다 타인의 힘으로 위로 올려준다와 뜻이 통한다 올려치기라는 말은 어느 대상이 실제보다 고평가받았다고 느끼거나 억지로 띄워주기일 경우 그것을 못마땅하게 여기며 깎아 내리려고 비아냥거리는 말입니다 2018년대에 여초 사이트에서 연예인들을 이야기하다 탄생해 여러 커뮤니티로 퍼져나갔다는 기원 썰이 있고 올려치기 자매품 내려치기, 후려치기 = 어느 대상이 실제보다 저평가 되는 상황을 말한다. 올려치기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사람도 유명인, 연예인, 정치인 같은 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사람들이 많다. 인터넷 커뮤니티 대표적 올려치기의 예로는 좋은 이슈 미담 등으로 게시판을 도배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입히는 것이 있고 내..

오시카츠 뜻 기원

오시카츠 推し活 , 推し(밀다 추천하다) 活動(활동하다) 의 합성어 당연하게도 일본에서 유행하는 유행어이고 일본에서 넘어왔다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 연예인, 아이돌을 응원하고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은 사람을 말합니다 아주 특별한 뜻은 없었다. (간단하게 덕질, 추천하는 활동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이나 연예인에게 덕질하며 굿즈를 사고 매력을 전파하는 활동으로 오시카츠 덕분에 그 팬덤의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핵심으로 보고 있다 자신들이 스타를 만드는 셈 소속사는 정말 땡큐다 돈 한푼 들이지 않고 소속 연예인을 위해 소비해주고 SNS나 오프라인에서 홍보까지 해주니 말이다 오시+여러 단어 합성어가 존재하고 뜻은 덕질과 연관이 깊습니다 오시피(推しぴ) : 그룹에서 가장 좋아하는 멤버 오..

알빠노 뜻 기원

알빠노 알빠노는 내가 알 바 아니다의 줄임말 알빠에 노를 붙인 합성어 입니다 요즘 핫한 유행어 알빠노는 뜻밖에 개인 인터넷 방송에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PAKA9999라는 아이디를 쓰는 스트리머 방송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을 하는 도중 같은 팀 유저가 자신만 이득을 보고 다른 아군에게 피해를 주었던 상황에서 이를 항의하자 그 유저가 알빠노라는 채팅을 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것이 유행을 타며 밈이 되어 여기저기서 사용하게 됩니다 단어가 주는 임팩트보다 알빠노라는 말을 하고 보기에 따라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모습으로 다가와 충격과 공포를 느낀 시청자들에게 큰 임팩트를 준 것입니다 (사실 공감하는 게 즐겜 유저들은 다 이렇습니다 팀보다는 내가 재밌어야 함) 앞서 말한 것처럼 알빠노의 뜻은 쿨한 듯 당당..

꺾이지 않는 마음 뜻 기원

꺾이지 않는 마음 요즘 채팅이나 게시판 댓글에 심심치 않게 보이는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글이 많이 보이는데 도대체 이 글이 어디서 왔고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해서 글을 써봅니다 예전부터 종종 쓰이던 글귀였지만 이 글을 유행시 킨 건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에 프로게이머 김혁규(Deft) 선수가 등장하며 나온 문구가 바로 그 시작! 2022년 롤드컵 1라운드에서 패배 후 인터뷰에서 졌지만 포기하지 않는 의지를 보여주며 보는 이들을 감명받게 하였고 꺾이지 않는 마음이 퍼져 나가게 됩니다 김혁규 선수가 꺽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말을 한적은 없다 인터뷰 영상 제목에서 연결되며 꺾이지 않는 마음 = 김혁규(Deft)가 만든 명언으로 확립 됩니다 (나중에 꺾이지 않는 마음을 직접 말함) 꺾이지 않는 ..

언더독 뜻 기원

언더독 언더독(Underdog) 대충 뜻은 아래 깔린 개, 사회적 약자, 약자, 이길 가능성이 적다를 뜻한다 투견장에서 싸우는 개중 싸움에서 열세에 몰려 밑에 깔린 개를 언더독이라 부르던것이 그 기원이라는 썰이 있습니다 (밑에 깔린 개는 이길 확률이 낮다고 한다.) 언더독이라는 단어는 대표적으로 스포츠에서 많이 쓰이는데 우승이나 이길 확률이 적은 선수나 팀을 혹은 밑바닥에서부터 올라온 선수를 일컫는 말입니다 (언더독 팀이나 선수에게 더 많은 응원한다.) 스포츠를 벗어나 사회과학에서 언더독 효과라는 것을 말하는데 약자가 밑바닥부터 차근차근 올라가 성공하는 이야기나 성공을 응원하고 바라는 심리를 말합니다 예로 사람들은 재벌2세가 성공하는 이야기에는 크게 관심이 없지만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성공하는 역경 극복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