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929

심기경호 뜻 기원

심기경호  최근 신문이나 뉴스에 다시 언급되고 있는 단어 "심기경호(心氣警護)"는 전두환 정권 때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합니다. 대통령의 마음이 편안해야 국정도 잘 된다는 의미로 그당시 쓰였으며 대통령을 측근이 대통령의 보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대통령의 마음까지 살피는 것을 말하는데  대통령을 보호하며 마음까지 살피는게 문제 될 게 있나 싶지만경호 대상의 심기에 걸슬리는 것을 모조리 처리해 버리는 것이 문제입니다. 심기경호 덕분에 당사자는 골치 아픈 일이나 사건은 관여할 필요도 없어지게 됩니다. 과거처럼 심기에 거슬릴 산책로 돌부리 제거나 새똥 제거 약품 개발이나, 심기에 거슬리게 할 자를 잡아넣거나  사라지게 하는 과격한 일은 없지만  과도한 충성심으로 사건사고를 측근 선에서 덮어버리거나 심할 정도 ..

데스라 뜻 기원

데스라 막일 일명 노가다 용어인 데스라는 영어 같기도 하고 일본어 같기도 한데  데스라는 일본어로 出面(でづら) 날출에 얼굴면, 뜻은 얼굴을 내밀다, 날삸을 뜻합니다 얼굴을 보여주고 확인 받는다 그런 느낌 같습니다. 일상에서 전혀 쓰지 않는 단어라 생소해 할수 있는데 현장에서는 매우  흔하게 쓰이는 단어입니다. 현장에서는 작업자를 작업전이나 잡업중간 작업이 끝난 후에도 수시로 인원 체크를 합니다 (일용직 특성상 중간에 도망치는 인원이 너무 많아서..) 데스라 가져와라, 데스라에 싸인해라, 데스라 확인하라고 할 텐데  출역장부, 현장 출석부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자신이 일한것이 맞는지 일자와 사인이 들어가야 일한 것으로 인정이 되는 것이겠지요

슬세권 뜻 기원

"슬세권"은 2020년대 초반 등장한 신조어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될 시기,먼 거리 외출을 자제하고 가까운 거리를 편한 차림으로 다니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에 의해 탄생했습니다. 슬세권이란 단어는 지하철역이나 철도역 같은 주변의 교통이 편리한 환경을 뜻하는 역세권에서 파생된 신조어가 슬세권입니다 슬리퍼+세권의 합성어로 슬리퍼를 신고 다닐 수 있는 환경을 말하는 것입니다. 슬세권에 들어가는 시설로는 격식을 별로 따지지 않는 곳, 후줄근하게 입고 슬리퍼를 질질 끌고 다녀도 상관없는편의점, 카페, 피시방, 만화방 같은 편의 시설등이 있겠습니다. 역세권 만큼 요즘은 슬세권도 중요시되는 분위기로 보입니다.

꺼어억 뜻 기원

꺼어억 꺼어억은 트림 소리를 뜻하는 의성어로, 무언가를 맛있게 먹고 나서 하는 트림을 뜻하는데 트림소리가 기원인만큼 음식을 먹고 만족스러울떄 하는 감탄사 이거나 무언가를 소유했거나  금전적인 이득을 본 상황에서도 꺼어억 이라 쓰기도 합니다. 남이 잘못된 것을 보고 체한것이 뚫려 소화가 되어 트림이 나왔다,  속 시원할때 사이다다, 고소하다 대신에 꺼어억이라 쓰기도 합니다.인터넷 방송에서는 특정인이 투자한 것을 날리거나 이득을 본 상황에서 부러움이나 조롱의 의미로 쓰입니다. 때문에 투자와 관련이 깊은 주식이나 코인, 뽑기 가챠를 하는 상황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꺼어억의 시작은 2017년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서 탄생했고 쓰이다 유행을 타고 퍼져나갔으며 의성어가 기원이다 보니 꺼어억 ..

가라꾸 뜻 기원

가라꾸 가락이라 하거나 가라꾸라 하는 이 단어는 일본식 표현으로 당구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그 기원은 가라 쿠션의 줄임말로 일본어 가라(空, から)로 가라의 뜻은 빈, 비어있는 것을 뜻하며 쿠션은 당구대를 둘러싸고 있는 공이 나가지 못하게 막아주는 벽을 쿠션이라 말하는 것입니다.이제 가라쿠션이 무슨 뜻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겠지요당구를 칠때 당구공을 먼저 맞추지 않고 빈 쿠션을 먼저 치는 것을 가라꾸라 합니다.당구에는 유독 일본어에서 시작된 기술이름이 많은 것 또한 당구만의 특징인 듯합니다. 가라꾸라는 단어는 당구판에서 쓰이던 것이 확장되어 적절한 상황에서 가라꾸가 있다 하면서 쓰기도 합니다 당구판이 아닌 일상에서는 기본, 개념이 있다 정도를 가라꾸 있다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뒤에서 턱이 보이는 관상

뒤에서 턱이 보이는 관상뒤에서 보았을 때 턱이 보이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흔합니다 심하게 턱이 보이는 사람들을 말하는 것입니다.이런 관상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심한 사각턱에 목선이 턱보다 가늘어야 두드러지게 턱이 잘 보입니다. 이런 관상을 가진 사람들은 무뚝뚝하고 자기 소신이 강해 간섭이나 명령받는 걸 극도로 싫어합니다.인내심이 강하고 단순해 한 우물만 파야 하는 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스포츠와도 잘 맞는 편입니다.사람은 악하거나 꼬인 사람은 아니지만, 고지식하고 고집 불통인 성향이 강해서 대인관계에 있어 서툴고 마찰이 잦을 수 있습니다.한번 마음먹으면 무슨 일이 있어도 해야 직성이 풀려 다른 사람의 조언 따위는 들으려 하지 않습니다이기적이고 어리석은 구석이 있어 당장 눈앞에 일만 생각하고 행동하..

관상 이야기 2024.07.20

귀 위치가 낮은 관상 보기

귀 위치가 눈보다 낮은 관상 귀는 높이 있을수록 귀하다 봅니다.귀가 낮은 사람들은  공부나 머리 쓰는 일에 크게 흥미가 없고 윗사람 덕을 보기가 어렵습니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배려심이 많으며 물질적인 것에 집착하는편입니다.겸손하지만 자신감이 부족할 수 있어 주도적이기보다는 타인을 따르는 성향이 강합니다. 자신을 드러내거나 과시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판단력이 매우 나빠서  스스로 불속으로 뛰어들어 불합리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고,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변덕스러워 종잡을 수 없습니다인내심이 부족하고 성급해 대인관계에서 갈등이 잦을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갈등이 생기거나 평화롭게 지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관상은 평생에 걸쳐 변합니다 어떤 마음으로 표정을 짓냐에 따라서..

관상 이야기 2024.07.20

사자코, 사자비(狮子鼻) 관상 보기

일명 사자코 관상에서는 사자비(狮子鼻)라 부릅니다.코가 둥글고 뚱뚱하며, 코뿌리가 낮고 코볼이 넓어 사자와 흡사해 보이는 게 특징입니다 이런 코는 사자라는 이름 같이, 사자 처럼 활동적이고 활력이 넘칩니다. 고상한 성격처럼 보이지만 자기중심적이고 버럭 화를 잘 냅니다. 성공과 재물에 관심이 많은데 금전운 또한 따르는 코라서 금전적인 어려움이 없는 코로 해석됩니다 늦은 나이에라도 반드시 부를 축적해 부유한 삶을 살아갈 확률이 높습니다 언변이 좋고 지혜로운 편이지만 자존심과 승부욕이 강해 패배나 실수를 쉽게 인정하지 않습니다. 직설적이고 완고한 성격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경쟁하는 걸 좋아하고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는 걸 좋아해 사회생활을 잘하여 유능한 인재가 많아 전문직에서 많이 보이는..

관상 이야기 2024.07.20

허세가 심한 관상 보기

허세가 심한 관상이마에 V자 주름이 있는 사람은 남들 시선에 비칠 것에 목을 매는 경우가 많습니다돌출된 눈은 욕심이 많고 순간 뜨겁게 끓었다 쉽게 식는 스타일이라, 있지도 않은 걸 있다, 해본 적도 없는 걸 해본 척 거짓말로 허세를 부리다 뒷수습하는 걸로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광대가 얼굴 비율에 맞지 않게 두드러지 보이거나 크다면, 자존심이 강해 남들에게 밀리는 걸 싫어합니다. 현재 상황을 무시하고 늘 남들에게 과시하고 싶어 하다 보니, 실속이 없고 빈 수레처럼 시끄러운 입만 살아있습니다늘 말만 앞서고 허세만 충만한 타입이 많습니다. 귀 안쪽이 돌출된 귀도 허세가 심하고 사치스럽습니다.구렛나루가 진한 사람은 남성이 매우 강해 분위기에 쉽게 휩쓸려 허세나 허언을 잘 내뱉습니다 콧대가 높거나 들창코는..

관상 이야기 2024.07.20

야바위 뜻 기원

야바위라는 단어는 뭔지 대충은 다들 아시고 계실 겁니다 돈 먹고 돈 먹기 맞추면 몇 배로 더 준다고 하면서 컵에 어떤 물건을 숨기고 휙휙 빠르게 이동하고 멈추면 맞추는 오프라인 사설 도박장이라고 해야 하나 그런 것을 보통 야바위라고 하죠 야바위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야바위꾼이라 부릅니다. 야바위의 기원은 일본어라는 말도 있고 중국어라는 말도 있는데 중국에 있는 도박중 하나인 压宝(yābǎo)가 기원이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중국에서 하던 도박이 일본으로 수출되어, 일본  쓰다가 마지막으로 한국에서도 스며들게 된 것이유력합니다. 일본어로 '야바(やば)'는 일본어로 '위험하다', '위태롭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 위험한 도박인 야바위와 묘하게 맞아 떨어집니다  이 용어는 주로 거리에서 행해지는 속임수 행위, 즉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