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의주빈, 의마스 뜻 기원

의주빈, 의마스 신조어 탄생의 시작은 2024년 의료정책에 대해 반발하며 발생된 것으로 보입니다 의사들이 가장 반발했던 정책은 의대 정원 확대  정부와 의사 단체는 한치의 물러섬 없이 대립하고 있다 보니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상황입니다 정부와 의사단체의 대립에 따른 가장큰 피해는 국민이 온전히 보게 되며, 의사 집단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의사들의 집단 사직이나, 진료 거부를 하는 모습을 보이며 환자들을 인질로 삼는 모습이 마치 하마스 인질극이나,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조주빈의 범죄와 다를 게 없다며  의사들에게 멸칭의 의미를 담아서 부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의주빈, 의마스의 탄생된 것은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서 탄생되었고 큰 공감을 얻게 되며 여기저기 퍼져 널리 쓰이게 되었..

노괴 뜻 기원

노괴 요즘 인터넷 커뮤니티에 종종 보이는 노괴라는 단어 딱 봐도 부정적인 뜻으로 누군가를 비하할 때 쓴다는 걸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노괴(老怪)란 노인과 괴물의 합성어로 나이먹은 사람을 경멸하고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부정적인 신조어입니다  대중교통이나 공용시설에서 민폐를 끼치는 아주머니나 노인들에게 쓰이던 단어인데 본격적으로 인터넷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서 활발하게 쓰이며 노령인이 주 타갯 같지만 전혀 아니였습니다. 30대 이상의 여성을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은어에 가깝고 30대 이상 먹은 여성이 나이 먹고 결혼하려 한다며 조롱을 하려 쓰기 시작한 것이 그 시작으로 보입니다. 과거 성형 + 괴물의 합성어인 성괴에 이어 2탄이 나온 느낌이네요  현재진행형인 남녀갈등 속에서 ..

너 T야? 뜻 기원

너 T야? 2022년 대한민국을 강타한 MBTI에서 파생된 신조어입니다 과거에는 혈액형이었는데.. 코미디 유튜브 채널 폭스클럽과 밈고리즘에서 최초로 쓰였고 시청자들은 많은 공감을 얻게 되며 유행어가 됩니다. T는 정확히 무엇이냐 MBTI에 T인 부류의 사람은 공감능력이 부족한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상대가 공감이나 호옹을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줄 경우, 상대방에게 면박을 줄 때 쓰는 단어입니다. MBTI가 T가 아니라 해도 공감을 못하거나 분위기에 끼지 못하면 T 취급을 하듯이 하는 말이죠 유쾌하고 재밌는 유행어지만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불쾌감을 줄수도 있습니다.MBTI에 T가 있는 사람들은 썩 달가워 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T가 들어간 사람들은 공감능력 없는  소시오패스나 싸이코..

염병 뜻 기원

염병 염병하네, 염병하고 자빠졌네, 염병이네, 감탄사로 '염병'이라고 쓰기도 하는 염병이라는 단어는 억양부터 쓰이는 타이밍만 보더라도 욕설인걸 단번에 알수 있습니다. 염병은 정확히 무슨 뜻이고 어디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에 글을 써봅니다. 염병은 한자 染(물들 염), 病(병 병) 전염병이나 사람에게 전파되는 옮는 병을 뜻합니다 전염병은 지금도 무섭지만 과거에는 정말 무서운 질병이였습니다 한번 전염병이 유행하면 마을 하나가 쓸려 나가는 건 예사였으니까요염병은 정확히 뜻하는 전염병은 장티푸스 입니다. 감염 시 발열과 복통등 여러 증상을 보이며 잠복기가 있고 감염 시 죽을 수도 있는 무서운 전염병으로  장티푸스에 시달리던 시기에 이 전염병 보다 무섭고 나쁜것이 없다 보니 저주에 가까운 심한 욕으로..

추탭갈 뜻 기원

추탭갈 처음 들으면 상당히 난해하고 감도 오지 않는 신조어입니다. 추탭갈은 인터넷 커뮤니티 루리웹에서 탄생된 것이 유력해 보입니다.추하게 + 탭(택갈이)의 합성어로 택갈이는 상표를 교체해 자체 브랜드를 붙여 파는 것을 말합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의 대표적인 룰과 같은 추천과 비추 글이나 댓글이 마음에 들거나 공감했을 시 추천을 누르고 반대는 비추천을 누르는게 보통입니다 게시글에 추천이 많으면 베스트 글로 선정되어 사이트 상단에 걸리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베스트 글을 볼 수 있게 되는데 추탭갈은 이 베스트 글과 관련이 깊습니다.유머 게시판의 잡담 탭은 베스트에 노출되지 않는 대신 추천과 비추를 받는게 가능합니다.  이것 까지는 문제될게 없지만 루리웹 사이트는 글을 수정하는 게 가능합니다 글을 1차로 추천을..

파산핑, 등골핑 뜻 기원

파산핑, 등골핑 파산핑, 등골핑이라는 재밌는 신조어는 어린이들에게 광기에 가까운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애니매니션 캐치! 티니핑에 등장하는 귀여운 피시핑들 때문에 생긴 신조어입니다.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기가막히게 뽑혔고 어린 나이부터 자신의 최애 티니핑을 선택해 덕질을 하는 어린이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캐치! 티니핑은 1기 2기 3기 4기를 거처 샤샤핑, 말랑핑, 새콤핑, 포실핑, 달콤핑 등 대략 100가지가 넘는 피시핑 종류들이 존재하며 의류, 식품, 완구, 인형, 피규어, 신발 등 티니핑이 들어간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어 사악한 피시핑 군단이 들어간 상품들을 자식들에게 사주려니 등골이 빠진다 파산하게 생겼다며 우는 소리를 하기 위해 탄생한 신조어 입니다.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다 보니 ..

니마이 뜻 기원

니마이 니마이? 처음 들어보면 욕 같은 이 단어는 일본어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주로 연극이나 방송판에서 쓰이는 현장 용어에 가까우며 특히 개그맨들 사이에서 정말 많이 쓰입니다. 니마이는 질이 좋고 멋진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진지하다 심각하다 진심이다 정도를 대신에 쓰입니다.  예시너무 니마이다. = 너무 진지하다. 나 니마이! 화장실! 화장실! = 나 진지하게 화장실 가야 한다. 진짜 니마이야? = 진짜 진지해? 너무 니마이라 안된다 = 너무 진지해서 안된다. 반대 개념으로 "쌈마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쌈마이는 가벼운 역할이나 웃음을 주는 캐릭터를 지칭합니다. 일본 카부키 연극에서 주인공급 매력있는 멋진 역을 니마이메라 불렀는데 이것이 이어져 오며 한국에서 니마이라 쓰이게 된것입니다

고수레,고시레,고스레 뜻 기원

고수레 뜻 기원 고수레,고시레,고스레, 지역에 따라서 살짝씩 단어가 다르지만, 그 뜻과 행위는 모두 같습니다. 고수레는 아주먼 옛날부터 음식을 산이나 바다에 고수레 고수레 말하며 술이나 음식을 바치는 풍습입니다. 보통은 풍요나 기도를 하며 일이 잘 풀리게 해달라고 빕니다. 성묘를 가거나 배를 타는 어부들이 식전에 고수레하는 의식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수레의 기원은 여러 썰이 있는데 몇 가지 이야기해 보자면18세기 중반 해동가요에 나오는 안전 기원의 주문에서 시작되었다는 썰과 고씨 성을 가진 귀인을 기리기 위해서 고씨례(高氏禮)에서 전해졌다는 썰 고씨성을 가진 여성이 죽어 들판에 묻혔는데 농사를 하고 새참을 먹던 사람들이 고씨가 생각나 고씨네도 먹으라며 음식을 떼어 들판에 두었는데 죽은 고씨 덕..

느자구 없다 뜻 기원

느자구 드라마나 예능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단어 '느자구' 그냥 느자구라고 안 하죠 느자구 없다 느자구 없는 놈 느자구 없는 녀석등 왠지 느낌이 엄청난 욕설 같은 느낌이 물씬 풍깁니다. 대부분 비하의 목적이 담긴 단어임은 틀림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느자구라는 단어는 사실 전라도 사투리로 "늦"이라는 명사에 "-아구"라는 접미사가 결합된 것입니다.   과거 '늦'은 전라도 지방에서 조짐이나 징조를 대신해 쓰였습니다. 쉽게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싹수라는 단어와 같은 뜻으로 싹수라는 단어도 약간 어렵거나 낯선데 싹수는 그 사람의 가능성 혹은 예의와 배려심이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느자구 없다. =  싹수없다. = 싸가지없다.  표현만 다를분 같은 뜻과 같은 결을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싹수를 대신해 쓰기도..

입이 보살이다 뜻 기원

입이 보살이다  입이 보살이다.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대충은 말실수하지 말아야 한다 말을 아끼자 같은 뉘앙스로 쓰이는데요 정확이 무슨단어고 어디서 시작된 것인지 궁금해 글을 써봅니다. 입은 口(입 구)를 뜻하는 걸 알겠는데 '보살'이 무슨 뜻인가 보살이라는 단어에는 많은 뜻이 있었습니다.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를 받은 이후의 몸, 보리쌀, 무당, 인내심이 좋은 사람 등 정말 여러 상황에서 전혀 다른 뜻으로 많습니다 입이 보살이다에 보살이 뜻하는건 보살(補乷) '기울 보'에 '음역자 살'이 사용된 한자였고 그 뜻은 입으로 죄를 짓거나 저주를 하면 결국 뱉은 말대로 되돌아오게 된다는  꽤나 무서운 뜻을 담고 있는 단어 였습니다예로부터 말에는 주술적인 힘이 있다고 하였지요 불교적 감성이 물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