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조어 유행어 뜻 587

궁캉스 뜻 기원

궁캉스 궁궐+바캉스의 합성어로 경복궁이나 창덕궁, 덩수궁 등의 궁궐 관광지를 바캉스 차원에서 휴식을 즐기는 것을 말합니다 작년부터 MZ세대들에게 아름아름 인기를 끌다 최근 인기가 부쩍 늘어난 궁캉스는 옛것, 전통의 멋이 "힙" 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궁궐에서 한복도 입고 전통음악도 들으며 수라상을 먹어보는 등의 특별하고 새로운 경험을 원하는 젊은 층들에게 큰 인기를 끌게 됩니다.  최근 MZ세대들 사이에서 약과나 막걸리 같은 전통 먹거리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바캉스로 호텔이나 해외여행보다는 궁캉스 관련 행사도 많으니 옛것의 매력 체험이나 특별함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나쁘지 않을 거 같긴 합니다.

쌈마에 뜻 기원

쌈마에 일상에서도 종종 쓰이지만 보통은 연극이나 공연 무대 혹은 방송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현장 용어에 가깝습니다 뜻은 듣는 사람도 어렴풋이 바로 알 수 있듯이 싸구려, 3류, 복고풍, B급 저렴한 것을 쌈마에라 부르지요 쌈마에의 시작은 놀랍게도 일본 가부키 공연에서 쓰이던 것이 지금의 쌈마에가 된 것입니다. 가부키 공연 홍보 포스터나 간판에 가부키 공연 출연진들을 적었는데 첫째 주인공 두번째 인기 배우 세 번째  코미디언, 광대 네 번째  연기파 배우 등등..순서대로 소개된 곳에 세 번째 장에 코미디를 담당하는 광대 같은 포지션의 사람을 산마이메(さんまいめ)라 불렀는데 쌈마에가 변형되어 쌈마에가 된 것입니다. 과거 코미디언이라면 말이 필요 없겠지요 수준이하 저질스러운 모습을 많이 보여줬을 테니 긍정적인..

짬밥 뜻 기원

짬밥 짬밥은 군대에서 주로 쓰이는 군대용어에 가깝지만 일상에서 경력을 따질 때 간혹 짬밥 이야기가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짬밥은 언제 어디서 사용하던게 지금에 까지 쓰이게 된 것인지 궁금해 글을 써봅니다. 짬밥의 기원이 뭥확하지 않아 여러 설이 존재합니다 식판보급이 어렵던 시절 밥과 반찬을 짬봉해 퍼주던 밥 짬뽕밥에서 시작되었다는 썰 식사의 질이 너무 떨어져 남은 음식 잔반과 같다 하여 잔반이라 부르던 것에서 시작되었다는 썰 찐 밥 썰 새참 썰 고참에 참 썰, 쪄서 만든 밥 찜밥 썰 등 많은 썰들이 있지만 잔반에서 시작되었다는 썰이 나름 유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잔밥 - 짠밥 - 짬밥으로 변형되었다고 봅니다 실제 반찬이 부실할때 짬밥이라고 부르는 걸 듣거나 사용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기도 하네요

찐빠 뜻 기원

찐빠 찐빠는 절름발이를 뜻하는 跛, ちんば - 침바에서 우리가 듣고 쓰는 지금의 찐빠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찐빠는 무언가 틀리거나 문제가 생겼을시 고장 났다, 틀렸다 대신에 찐빠다, 찐빠 났다, 찐빠 됐다라고 쓰는데요 고장 난 것을 고치는  엔지니어, 카센터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엔진 찐빠 났다" 사실상 찐빠라는 단어는 군대에서 많이 쓰는데 (특히 해병대)  어떤 문제가 생기거나 잘못된 곳, 부정적인 모든 것에 찐빠를 넣어 씁니다실수가 잦은 사람, 사람 비하 = 찐빠새ㅇ 고장 = 찐빠  절름발이 = 찐빠 실수 = 찐빠 찐빠라는 단어 앞에 개를 붙여 개찐빠라 비하하기도 합니다. 일제의 잔재에 가까운 단어이고 입에 착착감기는 단어이지만 찐빠라는 단어 대신에  고장, 실수, 문제 등으로 순화해서 사용하는게 ..

그치그치(ㄱㅊㄱㅊ) 뜻 기원

그치그치 "그치"는 언제부터 사용한 건지도 모를 만큼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해 오던  단어이지만 최근 그치라는 단어를 반복해 "그치그치"라며 밈처럼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치는 그렇지의 줄임말로 상대방의 말에 동의 할때 쓰입니다. 유행어처럼 퍼진 원인으로는 실시간으로 시청자들과 소통하는 개인방송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개인방송인이 하는 말에 공감하고 맞장구 쳐주며  초성 채팅을 보함해 채팅창에 온통 그치그치(ㄱㅊㄱㅊ), 인정인정(ㅇㅈㅇㅈ), 이거레알(ㅇㄱㄹㅇ) 같은  채팅으로 도배되는 모습을 보셨을 텐데요팬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방송인이 거짓을 말하던 억지를 부리던지 전혀상관이 없습니다.억지 맞장구 분위기를 파악 하지 못하고 방송인에게 거슬리는 채팅이나, 반박하는 채팅을 남길 시시청자 + 방..

쓰로잉, 스로잉 뜻 기원

쓰로잉, 스로잉 스로잉(throwing)은 스포츠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에 가깝습니다. 축구 특히 e스포츠에서 정말 많이 쓰입니다. 스포츠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던지기? 던지다?를 뜻하는 단어라서 뭐 공이나 던지나 이런 생각을 하실 텐데요 축구에서 축구선수가 양손으로 공을 번쩍 들어  던지는걸 보셨을 텐데 그걸 스로잉 하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지금 말하는 스로잉은 약간 뜻을 다르게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 팀이 게임을 패배하도록 일부러 게임 방해를 하는 것을 쓰로잉이라 합니다  롤을 하다보면 자주 듣게 되고 보게 되는 채팅 "나 게임 던진다" "게임 던짐" 그리고 아무 말 업이 적에게 죽어 골드와 경험치를 기부하지요.. 꼭 게임을 방해하는 플레이를 하지 않더라도 선수 경기력이 형편 없다던지  기대치에..

파레이돌리아 뜻 기원

파레이돌리아 파레이돌리아(pareidolia) 혹은 변상증(變像症)이라 부릅니다.파레이돌리아는 "para eidōlon"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para"는 "옆에" 또는 "주변"을 의미하고, "eidōlon"은 "형상"이나 "모습"을 의미합니다. "para eidōlon"은 "형상 옆에" 또는 "형상 주위에"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어떤 불확실한 형태를 보고 심리적인 여러 요인에 의해  무작위적인 자극이나 패턴에서 의미 있는 형태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현상을 일으키는 것 말합니다. 일상에서 가장 흔한 파레이돌리아 예시로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부분이 마치 사람의 얼굴처럼 보이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심령사진이라고 어떤 연기나 형태를 보고 악령의 얼굴이다 유령이다..

편백족 뜻 기원

편백족 편백족이라는 단어를 듣고 편백나무를 좋아하는 사람을 말하는 건가 했습니다..편백족은 편의점과 백화점을 동시에 이용하는 소비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편의점+백화점+족(族) = 편백족 이들은 생필품이나 간단한 식사는 편의점에서 해결하고, 백화점에서는 명품과 같은 고급 제품을 구매하는 중간이 없는 소비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편백족은 편의점에서 컵라면이나 즉석식품으로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면서도, 돈을 모아 명품 신발이나 의류등을 구매하며 행복감을 느끼는 이들은 생필품에 대한 소비는 철저하게 절제하지만, 자신에게 행복을 주는 명품 소비에는 거침이 없습니다.  경제적인 여유가 생길 시기인 80년대 부터 90년대 생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편백족을 업계에서도 겨냥한 마케팅..

금어기 뜻 기원

금어기 금어기는 바닷가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흔하게 듣는 단어입니다. 주로 어업이나 수산업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관련이 가장 깊은 단어입니다  금어기(禁漁期)는 특정 지역에서 어획을 금지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어족 자원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를 위해 설정됩니다. 보통은 어종의 성장기나 산란기에 금어기를 걸어두어 생태계 보호및 고갈 방지를 위함입니다. 포획 금지 기간을 어기고 포획을 하다 적발시 2천만 원 이하 벌금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집니다  어업이 본업이 아닌 비어업인들은 80만원 과태료를 물게 됩니다. 생각보다 처벌이 강합니다..베테랑 낚시인들이야 다들 아시겠지만, 초보 낚시인들은 금어기를 잘 알고 낚시를 해야 합니다뜻하지 않은 큰돈이..금어기 2021년 기준 예시 몇가지대구..

아우토반, 감동의 아우토반 뜻 기원

아우토반, 감동의 아우토반과거부터 아름아름 쓰이던 단어인 아우토반 영화 육사오에서 감동의 아우토반이다라는 대사로 유행을 타게 되었는데요 아우토반(Autobahn)은 독일의 고속도로를 말합니다 아우토반 시스템은 1920년대 초반에 시작되었습니다 고속도로는 전 세계에 있는데 독일 고속도로에는 특별함이 존재합니다 그것은 자동차 주행 속도 제한이 없다는것입니다 그럼 너무 위험한 거 아닌가 싶은데 속도 제한이 없는 만큼 안전 기준이 매우 엄격합니다넓은 도로에 명확한 차선구분 고속 주행이 가능한 차량만 고속도로를 이용할수 있고 아우토반에서는 교통 규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차량을 추월할때는 왼쪽 차선을 이용해야 하는 등의 규칙 감동의 아우토반은 최고 속도로 도로를 달릴 떄의 스피드 광들의 가슴 뛰는 감동적 강렬한..

반응형